Year 1 | Year 2 | Year 3 | Year 4 | Year 5 |
---|---|---|---|---|
1st semester | ||||
건축학개론
건축학개론■ 건축학개론 (Introduction to Architecture) 38469 3.0학점 건축적사고 /필수 건축학부에 진학한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건축을 구성하는 제분야에 대한 개론적 소개를 통해 향후 수학에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건축을 구성하는 다양한 분야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와 함께 각종 세미나와 사례 조사를 통해 각 분야별 세부 전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아울러 각 분야별 실무에 대한 소개로 건축학을 전공하면서 갖춰야 하는 다양한 지식과 경험의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디자인기초■ 디자인기초 (Design Foundation) 38470 3.0학점 설계/ 필수 건축설계의 기본이 되는 조형적 구성원리를 이해함과 함께 조형의식과 건축물 구축의 근간이 되는 기하원리를 탐구하고 응용한다. 또한 조형형식과 구축, 구조의 상관성을 이해하고 이에 입각한 조형제작물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이론적 측면에서 건축물 구성의 기본요소 및 건축조형의식의 변천과정을 이해한다. | 주거학
주거학■ 주거학 (Housing) 36360 3.0학점 건축적사고 /필수 주거의 의의와 개념 및 주거공간의 역사, 주거문제, 주거관련 법규, 주거 건축의 구조와 시공 등 주거를 중심으로한 건축 전반의 기초적 지식을 습득한다. 특히 오늘날 주거의 일반적 양상이 된 공동주택 계획과 설계에 대한 다양한 이론 및 사례를 탐구한다. 건축사 1■ 건축사 1 (History of Architecture 1) _ 구 서양건축사 36387 3.0학점 건축적사고 /필수 이 과목은 고대에서 바로크에 이르는 서양건축역사에 대해 배운다. 고대에서는 이집트와 근동건축, 그리스에서는 에게 해와 그리스 본토 건축, 로마에서는 왕조사에 따르는 전개과정과 구조공법, 초기기독교에서는 바실리카와 무덤형 교회의 형성과정, 비잔틴건축에서는 펜던티브 돔에 의한 중앙집중형 교회등에 대해 배운다. 중세는 로마네스크와 고딕으로 나누어진다. 로마네스크에서는 고대 고전주의에서 중세 유기주의로의 전환에 대해서, 고딕에서는 플라잉버트레스, 리브 볼트, 다발기둥 등의 유기구조공법에 대해 배운다. 초기근대는 르네상스와 바로크로 나누어진다. 르네상스에서는 고전 리바이벌과 매너리즘에 대해서, 바로크에서는 가톨릭 부활과 절대왕정의 등장에 따른 새로운 건축양식에 대해 배운다. 디자인과 표현 2■ 디자인과 표현 2 (Design & Expression2) 36353 3.0학점 설계/ 필수 건축공간의 기본 개념과 기초적인 건축도면의 이해 및 작성, 모형 및 투시도 표현등을 습득한다. 설계초기 개념의 설정과 이의 발전을 통한 공간의 구축을 경험하며, 기능적, 심미적 이해를 바탕으로 어떻게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할 것인지 실습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건축도면 및 다이어그램, 렌더링, 모형, 동영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표현방법을 시도한다. 건축설계 1■ 건축설계 1 (Architectural Design 1) _ 구 건축설계기초 38531 3.0학점 설계/ 필수 본 설계교과목은 인간에게 가장 기본적인 건축공간으로서 ‘주거 공간’을 설계한다. 거주의 의미와 인간 삶의 기본적 필요와 욕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건축의 구성요소 , 형태, 공간생성논리와 구축논리 등을 종합하여 주택이라는 건축공간으로 완성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건축구조의 이해■ 건축구조의 이해 (Understanding of Structures) 37413 3.0학점 기술/필수 건축물의 설계 및 시공을 위하여 기본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는 구조개 념을 소개하고, 건축물의 구성법 및 축조법의 기본적 기술을 학습한다. 각종 구조재료의 역학적 특성과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 및 건축구조설계를 위하여 고려하여야 할 필요조건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그리고 현재 완공되었거나 시공중인 각종 건축구조물의 구조형식 등에 대하여 강의함으로써 건축에서의 구조원리를 이해하도록 한다. | 한국건축사
한국건축사■ 한국건축사 (History of Korean Architecture) 36357 3.0학점 건축적사고 /필수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인의 가치관이 반영된, 그리고 그 자취로서 나타난 건축의 양식과 내용을 알아봄으로써 전통 문화의 고유성과 독창성을 이해하고 또한 새로운 건축 문화 창조에 적극적인 관점을 갖도록 준비된 교과목이다. 건축설계 3■ 건축설계 3 (Architectural Design 3) 36346 6.0학점 설계/ 필수 중소규모 건물을 대상으로, 건축에 있어서 개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프로그램적 활동(문화시설)을, 대지와 환경 등을 적극적으로 해석하며 건축적으로 수용하는 방식을 학습한다. 또한 구조와 시공에 대한 개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건축의 물리적 구축방법이 디자인과 맺는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을 총체화 하는 기초적 과정을 학습하는 것과 함께 설계과정 상의 매체, 그리고 표현상의 매체 활용을 숙지한다. 건축환경시스템■ 건축환경시스템 (Environmental System in Architecture) 37282 3.0학점 기술/필수 본 수업은 건축의 열, 빛(자연광, 인공광), 음향, 공기,에너지(효율, 전달)환경 및 위생설비환경 등에 대한 이해와 함께 건축설계 의도에 부합하는 적정한 건축환경시스템을 선정하고, 건축설계의 디자인에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을 목적으로 한다. 건축재료■ 건축재료 (Materials in Architecture) 37415 3.0학점 기술/선택 본 교과목은 건축재료의 기본적인 물성과 재료의 구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주요 마감에서 활용되는 주요자재의 특성, 시공법등에 대한 지식전달을 목적으로 한다. 건축재료에 따라 적용되는 디테일 및 구축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건축가들의 재료와 선택과 구축방법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학습한다. 또한, 전통적인 건축재료의 영역을 넘어서 각종 합성재료, 스마트 머티리얼 등 고성능 건축자재들의 최신 동향을 연구하고, 재료의 특성에 기인한 실험적인 디자인 접근법에 대해 탐구한다. | 도시설계
도시설계■ 도시설계 (Seminar in Urban Design) 36358 3.0학점 건축적사고 /필수 본 강좌는 도시설계의 여러 가지 이론과 과정을 논의하고, 도시설계의 수법과 실천사례를 학습한다. 수강생들은 세미나 차원에서 넓은 탐색과 깊은 관찰을 통하여 도시설계의 의미를 터득하며, 다양한 도시적 맥락에 대한 과제를 수행한다. 건축설계 5■ 건축설계 5 (Architectural Design 5) 36348 6.0학점 설계/ 필수 도시의 요소, 구성 방식, 도시의 활동 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건축이 그 환경과 관계 맺는 방식을 밀도 있게 탐구할 뿐만 아니라 건축이 역사적,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시대상황과 관계하는 방식을 탐구한다. 건축제도와 정책■ 건축제도와 정책 (Architectural Regulations and Policy) 36361 3.0학점 실무/필수 건축행위는 건축가 개인의 예술 창작 행위이기 이전에 한 지역 내의 경제 산업활동인 것이며, 더 기본적으로는 사람들이 들어가 사는 주거공간을 짓는 행위이다. 따라서 건축 행위는 공공의 복리를 준수하기 위한 목적하에 최소한도의 제한을 받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건축 법규이다. 이 과목은 이와 관련된 기본 내용을 습득함을 목적으로 한다. 친환경건축■ 친환경건축 (Eco-friendly system in Architecture) 37418 3.0학점 기술/선택 본 교과목은 건물 내부 및 외부의 공간환경을 조정하는 건 축적, 기계적 방식에 대해서 조절하고 통제하는 시스템을 이해하고 건물에 필요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저탄소, 저에너지 사용의 원리와 방법에 대해 이해한다. | 건축설계 7
건축설계 7■ 건축설계 7 (Architectural Design 7) 36350 6.0학점 설계/ 필수 역사적, 동시대적 상황의 이해를 배경으로 관심주제를 설정하고 그 주제를 밀도 있게 탐구하며 건축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해서 탐구하는 것과 함께 그에 대한 이론화 또 는 체계화 방법을 모색한다. 이러한 작업의 과정과 결과물 들을 총체적이며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방식을 습득한다. 본 설계결과물은 졸업전시회에 출품하는 것으로 원칙으로 한다. 건축실무■ 건축실무 (Architectural Practice) 36367 3.0학점 실무/필수 건축실무에 적용되는 사무소조직, 사업계획, 마케팅, 협상, 재정관리 등의 기본원칙 및 건축도서의 체계와 그 작성을 인지함과 함께, 프로젝트의 시작부터 계약, 설계, 행정, 감리, 건물의 준공 및 사후평가에 이르기까지의 건축가의 실무적 역할을 이해한다. 공간구성과 분석■ 공간구성과 분석 (Space Composition and Analysis) 36365 3.0학점 건축적사고 /선택 지형과 프로그램, 공간과 형태의 원리에 의하여서 만들어진 장소, 공간 및 건물의 구성과 분석을 탐구한행태, 기능적, 심미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다양한 기초이론과 사례학습을 통해 공원, 광장, 가로, 단지 및 소규모 도시공간 등의 오픈 스페이스를 대상으로 외부공간을 통합적으로 계획하고 창의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운다. |
2nd semester | ||||
---|---|---|---|---|
건축도시읽기
건축도시읽기■ 건축도시읽기 (Introduction to Architectural Thinking) 38404 3.0학점 건축적사고 /필수 이 과목은 건축학전공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건축과 도시에 대한 개괄적인 강의와 세미나, 그리고 필드트립으로 진행된다. 도시건축을 문화적 현상으로 이해하는 인문학적 접근과 실질적인 사례조사를 통해, 학생들은 삶과 역사의 인문학적 축적으로서 건축과 도시를 탐구하고 체험한다. 디자인과 표현 1■ 디자인과 표현 1 (Design & Expression 1) 36352 3.0학점 설계/ 필수 3차원 디자인 영역의 다양한 표현기법과 방법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디자인과 표현에 대한 이론적인 개괄과 함께 스케치, 정투영법, 투시도법, 콜라쥬, 사진 등 다양한 표현기법적 내용과 핸드드로잉에서부터 컴퓨터 그래픽까지 관련 기술을 경험하고 실습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디자인을 탐구하고 표현하는 개인 고유의 표현기법 개발을 시도한다. | 건축사 2
건축사 2■ 건축사 2 (History of Architecture 2) _ 구 근대건축사 36354 3.0학점 건축적사고 /필수 이 과목은 1890-1940년의 모더니즘 건축에 대해 배운다. 아르누보 건축을 시작으로 20세기 전반부를 이끌었던 유럽과 미국의 다양한 건축 사조 운동이 중심을 이룬다. 1910년대의 미래주의와 표현주의를 거쳐 1920년대에 데스틸, 순수주의(르코르뷔지에), 아돌프 로스, 바우하우스(그로피우스), 신 객관성 운동(미스 반 데어 로에), 러시아 구축주의, 미국 모더니즘(라이트) 등이 대표적인 사조들이다. 그 다음은 1930년대를 이끌었던 양대 산맥인 국제주의 양식과 전체주의 건축을 배운다. 전체주의에는 독일의 나치즘 건축(히틀러), 이탈리아의 파시즘 건축(무솔리니)과 신합리주의(테라니), 소련의 스탈린 건축 등이 포함된다. 이외에도 철근콘크리트와 철골의 신재료, 메트로폴리스와 고층 건물 등 모더니즘과 함께 나타났던 추가적 건축-도시 현상도 함께 배운다. 건축설계 2■ 건축설계 2 (Architectural Design 2) 36345 6.0학점 설계/ 필수 건축의 기본적 관계인 형식과 내용의 관계를 이해하고, 특정 내용을 담는 용기를 디자인하고 제작함으로서 재료의 물성과 구축을 터득한다. 또한 건축과 대지, 이들을 둘 러싼 환경 간의 기초적 관계를 이해하고, 건축 사용자의 활동 및 프로그램(상점)을 해석하여 이를 디자인에 반영하 는 과정을 습득한다. 또한 매체를 통해 자신의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의사소통하는 발전된 방법을 습득한다. 건축구조시스템■ 건축구조시스템 (Fundamental Structure System in Architecture) 37281 3.0학점 기술/필수 본 수업은 건축물을 구성하는 구조요소를 이해하며, 이에 대한 구조재료별 구성방법, 구축의 방식 등을 습득하고 그 에 관한 역학적 관계 등을 기술적, 체감적으로 이해하는 하는 것과 함께 공간의 쓰임새와 조형적, 공법적 상황을 감안하여 적합한 구조시스템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디지털 디자인■ 디지털 디자인 (Digital Design) 36356 3.0학점 설계/ 선택 디지털디자인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파라메트릭 디자인 및 디지털 패브리케이션 등 새로운 디자인과 기술의 경향에 대해 이해한다. 단순한 형태 재현의 도구를 넘어서 기하학적 구축원리에 근거한 자유로운 형태 생성과 변형의 도구로써의 디지털 디자인을 실습한다. 더 나아가 새로운 재료와 첨단 디지털 장비를 통한 디지털 패브리케이션 과정의 기본을 이해한다. | 건축설계 4
건축설계 4■ 건축설계 4 (Architectural Design 4) 36347 6.0학점 설계/ 필수 중규모 이상의 건물에서 요구되어지는 설계과정의 체계화 를 익힌다. 대지 및 주변 환경의 분석 및 프로그램의 해석과 이러한 상황에 대한 총합화를 밀도 있게 작업하며, 구조와 시공에 대한 발전된 이해를 바탕으로 건축의 물리적구축방법과 건축 재료의 물성을 이해하고, 이들을 아우르는 개념설정과 그것의 건축화 능력을 배양한다. 건축시공시스템■ 건축시공시스템 (Construction System in Architecture) 37284 3.0학점 기술/필수 본 수업은 건물재료의 물리적 특성과 재료의 사용, 생성, 적용을 방법론적으로 탐구하고, 건축시공의 각종 공법 및 공정과 시공관리(CM)의 영역까지 포괄하며 건축프로젝트의 상황과 설계의도에 따른 적정한 시공 방식과 체계를 설정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그 능력을 배양함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건축■ 현대건축 (Contemporary Architecture) 36362 3.0학점 건축적사고 /선택 이 과목은 2차 대전 이후 20세기 후반부의 현대건축에 대해 배운다. 현대건축은 2차 대전에서 자행된기계폭력에 대한 반성적 대안찾기로 시작되었다. 이것은 곧 독단적 모더니즘에 대한 비판이기도 했다. 이런 움직임은 1950년대 뉴브루털리즘부터 시작되어 1960년대의 자유정신 운동으로 발전했다. 자유정신운동에는 팝 건축, 포스트모더니즘, 복합공간 운동 등이 있었다. 1970년대는 1960년대에 대한 반발로합리주의시기였다. 이때에는 뉴욕 5, 하이테크, 후기 모더니즘, 구조주의, 구조미학, 미니멀리즘, 신합리주의 등이 있었다. 1980년대는 다시 1970년대에 대한 반발로 신주관주의 시기였다. 이때에는 해체주의, 신표현주의, 네오바로크, 상대주의 공간운동 등이 있었다. 1990년대는 네오 모더니즘이 이끌었다. 신추상 운동을 필두로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 네오 데스틸, 신구성주의 등이 대표적 운동이었다. 어번랜드스케이프■ 어반랜드스케이프 (Urban Landscape) 36355 3.0학점 건축적사고 /선택 본 교과목은 광범위한 도시의 외부 건조환경을 계획하고 설계하는데 필요한 기초이론과 설계방법을 배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전통적인 조경계획뿐만 아니라 외부공간을 자연과 생태, 사회적 맥락과 인간주재 및 토론, 선택주제에 대한 독립연구를 수행한다. | 건축설계 6
건축설계 6■ 건축설계 6 (Architectural Design 6) 36349 6.0학점 설계/ 필수 건축물 또는 도시를 구성하는 거시적이며 동시에 미시적인 상황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대규모 스케일의 콤플렉스나 마스터 플랜, 도시 설계적 접근의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그 속에서 도시 및 문화, 사회적 맥락과 건축이 만나며서 발생하는 건축 혹은 도시의 위상과 그 관계성들을 탐구한다. 또한 건물 혹은 도시와 그에 대한 관련시스템의 전반적 통합과정을 숙지하며 건축 및 도시에 있어서의 조직적 구성의 논리와 그것의 구축화 과정을 익히고 전시양식으로서 의사소통할 수 있는 표현 방법을 습득한다. 건축통합시스템■ 건축통합시스템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in Architecture) 36366 3.0학점 기술/필수 건물의 건설과정에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재료, 설비, 방재, 구조, 환경시스템 등을 평가, 선정 후 통합함으로써 설계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건축과 도시■ 건축과 도시 (Architecture and City) 36364 3.0학점 건축적사고 /선택 건축가가 설계하는 건축물은 95% 이상이 도시 내에 지어지게 되며 따라서 도시에서 건축물이 차지하는 의미를 해석해 내는 능력은 건축물 자체를 다루는 능력과 함께 중요하게 요구되는 사항이다. 이 과목에서는 도시의 역사를 통하여 도시를 건설한 도시계획과 도시 디자인의 방법들을 배우게 된다. 건축론세미나■ 건축론세미나 (Seminar on Architectural Theory and Design) 37285 3.0학점 건축적사고 /선택 고급 의사소통역량 강화를 목표로 한 세미나 형식의 수업으로서, 유수 건축가들의 건축이론과 건축작품, 그리고 양자의 상호관계에 대해 학습한다. 선행연구사례와 방법론에 대한 강의, 강독과 더불어 학생들은 세미나 다. 학생들은 고전 건축, 건축 유형의 역사와 이론 및 디자인 교육과정에 대하여 공부하고, 건축 역사에서 중요한 건축물에 대한 구성 원리에 대한 이해를 2차원 도면과 3차원 공간모델을 분석함으로써 증가시킨다. | 지속가능주거
지속가능주거■ 지속가능주거 (Sustainable Housing) 36359 3.0학점 건축적사고 /선택 건축물의 지속가능 개념을 포괄적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인간의 삶을 담는 건축의 문화-사회적 역할과 생태-물리적 기능을 분석적으로 이해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의 디자인 전략을 배우고 연구한다. 문화적/사회적/생태적/기술적 측면에서 건조 환경의 역할과 기능을 이해 함으로서 ‘전통과 변혁’, ‘원형과 변형’, ‘지속과 혁신’의 대립 개념 속에서 지속가능 건축을 위한 구체적 사례들을 고찰하고, 설계에서 이러한 개념을 반영할 수 있도록 디자인 방법을 모색한다. 건축종합설계■ 건축종합설계 (Architecture Comprehensive Studio) 38532 3.0학점 설계/ 선택 본 교과목은 설계스튜디오의 마지막 단계로서 스튜디오별 로 주제를 설정하되 건축담론의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건축적, 도시적 실험이나 타 분야와의 융합관점 에서 실험실습실기방식으로 교육된다. 건축기획■ 건축기획 (Pre-Design Process) 36368 3.0학점 실무/선택 사회 변화에 따른 건축에 대한 요구조건의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그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 건축기획분야를 다룬다. 특히 건축과 경제의 관계, 삶에 대한 가치 변화수용, 다분야간 접근방식 등 건축계의 현안으로 부각되는 문제들을 주로 다루어 실무지향적인 접근방식으로 진행한다. |
Summer / Winter semester | |
---|---|
디자인워크숍
디자인워크숍■ 디자인워크숍 (Design Workshop) 38461 1.0학점 전공선택 본 교과목은 여름 혹은 겨울학기 중 개설되는 집중 실습 교과목으로 건축내외의 전문가의 특강 및 실습을 통해서 건축에 직접적으로 적용되고 사용되는 최신의 테크닉을 습득하고 직접 기획되고 디자인된 프로젝트를 실제 결과물의 완성를 목표로 한다. 해외교류스튜디오■ 해외교류스튜디오 (Foreign Exchange Studio) 37286 2.0학점 전공선택 계절학기 중 해외 건축학교육프로그램과 공동으로 진행되는 스튜디오 교과목을 개설하고 상호 학생교류와 공동 스튜디오 지도를 통해 학생들의 해외경쟁력강화와 국제적 수준의 설계실습교육을 목표로 한다. 해외건축과어버니즘■ 해외건축과어버니즘 (Architecture and Urbanism in Foreign City ) 37319 2.0학점 건축적사고 /선택 계절학기로 개설되는 본 교과목은 해외 도시를 방문, 해외 도시 및 건축물 탐방을 통한 실질적인 건축적 경험을 목표로 한다. 해외 도시와 건축물의 이해를 위해 국내외 전문가의 강연 및 도시가 형성되는 사회적 문화적 물리적 배경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각 도시의 건축과 도시 공간의 특성을 비교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각 해외건축과 어버니즘에 나타나는 특이한 지역성를 찾아보고 또한 해외 도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세계화의 현상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건축실무인턴십 I & II■ 건축실무실습인턴십 I & II (Architectural Internship I & II) 37308 & 38398 1.0학점 실무/선택 건축 설계실무의 경험을 쌓기 위해 건축학과에서 승인한 설계사무실에 파견되어 한 학기동안 주 당 정해진 시간을 기준으로 근무한다. 교과과정을 통해 익힌 설계 및 건축 관련 지식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해 보고 현장학습을 통해 실무 업무를 경험하고 학습한다. 인턴쉽 기간 동안 실무실습일지 및 인턴쉽 보고서를 제출한다. | 건축글로벌산학실무실습 I-III
건축글로벌산학실무실습 I-III■ 건축글로벌산학실무실습 I - III (Architectural Global Internship I - III) 38399 2.0학점 & 38401 3.0학점 & 38402 4.0학점 실무/선택 건축 설계실무의 경험을 쌓기 위해 건축학과에서 승인한 설계사무실 혹은 외국회사에 파견되어 정해진 시간을 기준 으로 근무한다. 교과과정을 통해 익힌 설계 및 건축 관련 지식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해 보고 현장학습을 통해 실무 업무를 경험하고 학습한다. 인턴쉽 기간 동안 실무실습 일지 및 인턴쉽 보고서를 제출한다. 해외재능기부현장실습내용 준비 중 건축자기설계프로젝트 I-IV■ 건축자기설계프로젝트 I - IV (Architectural Self-Design Project I - IV) 38462 3.0학점 전공선택 건축자기설계 프로젝트는 학생들이 자신의 꿈에 맞는 건축 관련 분야에 대한 학업 계획을 스스로 설계하여 진행하면서 동시에 학기로 등록되어 학점을 취득할 수 있는 도전학기제 제도와 연계된 교과목이다. 학생들은 자신이 설계한 프로젝트의 성격에 맞는 지도교수를 선정하여 프로젝트 설계 단계부터 지도를 받는다. 매학기 도전학기제 설계 공모전을 실시하며, 서류심사와 면접으로 우수자를 선정하여 도전학기 실행을 위한 지원금을 받는다. |